-
[대한민국] 학생, 교원, 학부모가 함께 만드는 함께학교소식소식 2023. 12. 18. 10:12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교육정책을 논의하는 「함께학교」 디지털 소통 플랫폼 개통
함께학교 캠페인이란?
교육 3 주체간(학생·학부모·교사) 서로 신뢰하고 존중하는 학교 문화 회복을 통해 권한과 책임을 조화롭게 존중하여 공교육 신뢰회복 및 정상화를 위해 함께 추진하는 범국민 인식 개선 캠페인을 의미합니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1월 20일(월), 「함께학교」 디지털 소통 플랫폼을 개통했습니다.
「함께학교」 디지털 소통 플랫폼은 교육 3 주체(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 교육정책을 논의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 공간으로, 교육정책에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매주 진행되는 '현장 교사와 부총리가 함께 만드는 교육정책'에 이어 마련되었으며, 이를 통해 현장과 정책 부서 간 소통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함께학교」는 인터넷·이동통신에서 '함께학교 (https://www.togetherschool.go.kr)'로 검색·접속할 수 있으며, 국민 누구나 회원가입 및 간단한 실명 인증 후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습니다.
※ 이동통신 앱 제공 일정 : 안드로이드(11월 말), 아이오에스(IOS, 12월 말)
교육부는 다수의 구성원이 동의하고 지시하는 제안에 대해서는 신속하고 책임있는 답변과 정책 반영을 통해 제안자의 정책 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함께학교가 자생적 소통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전국에서 선발된 365명의 현장 교사지원단을 중심으로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아울러, 이번 개통으로 교육정책 제안 기능을 우선 제공하고 2024년 2월 말까지 정보 나눔, 상담 기능 등의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사용자 경험(UX)을 토대로 메뉴나 기능을 지속 개편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함께학교」 플랫폼에 토론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현장교원과의 대화에서 제안된 정책과제, 추진 상황 탑재 및 정책환류 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입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학교 현장에서부터 이루어지는 자생적 교육개혁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현장 소통이 필수적이다."라고 말하며, " 「함께학교」는 모두의 관점을 새롭게 연결하는 양방향 상시 소통 플랫폼으로 이를 통해 교육 3 주체 모두가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 교육부 홈페이지 및 함께학교 홈페이지]
https://www.moe.go.kr/main.do?s=moe
교육부
교육개혁, 대한민국 재도약의 시작
www.moe.go.kr
https://www.togetherschool.go.kr/
함께학교 : 학생, 학부모, 교사가 함께하는 디지털 소통 플랫폼
www.togetherschool.go.kr
'소식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특례시] 고양시 겨울철 가볼 만한 곳. 고양시 일출 명소. (2) 2023.12.24 [경기도] 여성폭력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 호봉제 도입, 연봉 등 처우 개선 (0) 2023.12.22 [대한민국] 2023년 연말정산 꿀팁. (1) 2023.12.21 [대한민국] "2명도 다둥이" 다자녀 혜택 총정리 (1) 2023.12.19 [경기도] 든든하고 촘촘한 복지 울타리로 포용 · 상생의 공동체 만들어... (2) 2023.12.17 [서울 종로구] 119안전길 스탬프 투어 (0) 2023.12.16 [서울 강북구] 반려동물 동반 여행지 북서울 꿈의 숲 (2) 2023.12.15 [경기도]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사업 (0) 202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