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2024년 난임부부 지원소식소식 2023. 12. 29. 09:59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간절히 아이를 원하시는 난임부부와 동행하겠습니다.
출처 - 보건복지부 공식 블로그 내년부터 사는 지역이나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난임 시술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2월 21일(목) 광역시·도와 난임지원 정책회의를 개최하여 이 같은 방안을 확정하였다고 발표했습니다.
난임부부가 난임 시술을 원할 경우 건강보험이 우선 적용되고,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과 본인부담금 의료비는 보건소에 신청하여 별도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부터 시·도와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7월 수도권을 비롯한 9개 지차체의 소득기준을 완화했습니다.
내년 1월에는 7개의 시·도(광주 · 대전 · 울산 · 충북 · 충남 · 전북 · 제주)에서, 4월에는 강원도에서 소득기준을 폐지하게 됨에 따라 전국 17개 시 ·도 전체에서 사는 지역이나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내년 2월부터 난임시술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지원도 확대됩니다. 그간 신선배아 9회, 동결배아 7회, 인공수정 5회 등 배아 종류에 따라 지원 횟수에 칸막이가 있었는데 내년부터는 체외수정(신선, 동결)의 칸막이가 없어지고 지원 횟수도 25회(체외 16 → 20, 인공 5)로 확대됩니다.
최근 2년간 건강보험으로 난임시술비를 받는 국민은 2022년 140,081명, 2023년(1~10월) 114,801명으로, 연말기준으로 약 28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시술 간 칸막이 폐지와 시술 횟수 확대로 산모와 의료진의 선택권 보장과 함께 난임부부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난임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도 내년에 확대됩니다. 내년 4월부터 이른바 "난소기능검사"라 불리는 AMH 검사(혈액검사의 종류)와 초음파 검사(여성, 10만원), 정액검사(남성, 5만 원) 등의 가임력 검진비를 부부 8만 2천 쌍에게 지원합니다.
결혼연령이 늦어지면서 결혼 몇 년 후 막상 아이를 가지려고 할 때는 난임인 경우가 많아 결혼한 부부라면 한 번쯤 검사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4년에는 60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작하여 2025년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냉동난자를 이용하여 난임시술을 받으려고 하는 경우도 내년 4월부터는 회당 100만 원씩 총 2회에 걸쳐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은 "심각한 저출산 상황에는 아이를 간절히 바리는 부부에 대해서는 국가가 동행하며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다"라며, "이번 소득기준 폐지를 비롯하여 앞으로 난임부부가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소식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21개 시,군] 2024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 확대 (0) 2024.01.10 [서울특별시] 서울 둘레길 2024년 4월부터 전면 개편 (1) 2024.01.09 [대한민국] 2024년 임신, 출산, 양육 정부지원 (0) 2024.01.06 [대한민국] 2024년 다둥이 가정의 산모, 신생아 지원 혜택 (1) 2023.12.30 [경기도] 아파트 노동자 인권보호 (1) 2023.12.25 [고양특례시] 고양시 겨울철 가볼 만한 곳. 고양시 일출 명소. (2) 2023.12.24 [경기도] 여성폭력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 호봉제 도입, 연봉 등 처우 개선 (0) 2023.12.22 [대한민국] 2023년 연말정산 꿀팁. (1) 2023.12.21